주식 추세 전환의 강력한 시그널, CHOCH를 아시나요??


많은 사람들이 추세에 맞게 거래를 하라고 합니다. 실제로 역추세 매매는 상당히 위험하며, 좋은 손익비를 내기 힘든 것이 사실이죠.

유명한 역추세 매매의 방법 중 하나로는, 다이버전스 매매법이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다이버전스 신호 하나만 보고 역추세 포지션에 진입하여 큰 손실을 보곤 하죠.

이런 빈약한 근거로 인한 매매를 방지하기 위해, 오늘은 확실한 추세 전환 시그널인 CHOCH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천천히 따라오세요!


CHOCH란?


CHOCH은 CHange Of CHaracter의 약자입니다.

추세의 전환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우리가 항상 접하는 자산 시장의 모든 타임프레임 (1분봉, 5분봉, 15분봉, 1시간봉 등) 에서 등장하는 신호입니다.

CHOCH는 프라이스 액션 트레이딩의 기초이자 모든 것이라고 하여도 무방할 정도이죠. CHOCH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 추세전환 시그널 CHOCH 설명

‘기존에 진행되던 파동이 반대 방향으로 깨지는 현상’을 우린 CHOCH라고 부릅니다. 위 사진은 기존에 하락 파동이 진행되고 있던 상황이죠!

위 사진의 하락 파동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처럼, 낮아지는 고점 (Lower High)와 낮아지는 저점 (Lower Low)이 번갈아가며 등장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하락 파동의 정의이죠.

그러나 사진에서는 기존의 하락 파동과는 달리, LH가 등장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전 고점인 LH를 위로 돌파하는 강력한 무빙이 발생합니다.

분명 하락 파동의 정의에 의하면, 직전 LH보다 더 낮아진 LH가 등장해야 하지만 말이죠. 여기서 직전 LH를 상승 돌파하며 하락 파동의 정의를 깨부수는 무빙을 우린 CHOCH 라고 부릅니다.


상승 파동에서의 choch 발현 사진

이는 상승 파동에서도 똑같이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상승 파동은 높아지는 고점 (Higher High)과 높아지는 저점 (Higher Low)가 반복되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위 사진에서도 그래도 나타나죠.

그러나, 새로운 HL이 등장해야 하는 시점에 전 저점인 HL이 하방 돌파 당하며 기존의 상승 추세가 붕괴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이는 실제로 차트 내에서 정말 많이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것 하나로 일시적인 가격의 추세 반전 현상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상승 추세가 꺾이는 경우 단기 숏, 하락 추세가 꺾이는 경우 단기 롱을 볼 수 있는 것이죠.

앞서 말한 다이버전스 매매와 제가 지금 알려드린 CHOCH를 이용한 거래는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방식의 거래입니다.

다이버전스 매매의 경우, 계속해서 기존 추세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단순히 다이버전스 하나만 보고 역추세 포지션에 진입하는 것이지만.

CHOCH를 활용한 매매의 경우, 이미 확실하게 캔들의 무빙이 반전 형태를 발현시킨 이후에 바뀐 추세에 편승하는 매매법으로 정확도에 있어서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이버전스 매매 대비, CHOCH 매매법의 승률이 상당히 높음)


프라이스 액션 트레이딩 기법에 대해


제가 앞으로 계속해서 다룰 매매법들은 이런 느낌입니다. 가격을 예측하는 것이기 보다는, 이미 발현된 추세 전환 시그널에 편승하여 흐름을 타는 매매 기법들이라고 할 수 있죠.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을 예측하기보다, 이미 일어난 일을 바라보고 대응하는 방식이 훨씬 쉽다고 생각하기에 이 프라이스 액션 매매법을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 강의를 보며, 각각의 요소들이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이는 최종적인 매매법 설명을 위한 기초 개념 설명이니 당장 이해하지 못해도 괜찮습니다.

트레이딩은 퍼즐과 같기 때문이죠. 지금 당장은 무슨 그림인지 모르겠으나, 계속해서 공부해나가다 보면 어느 순간 전체적인 그림이 보이게 되는 순간이 오며, 하나하나 맞춰져가는 느낌을 느낄 것입니다.

그럼, 그때 왜 제가 이렇게 하나하나 따로따로 자세히 설명했는지 이해하실 것이라 믿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제 CHOCH 예시들을 통해 하나하나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볼테니, 그때까지 계속해서 개념을 복습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